1. 모야모야 (Moyamoya disease)
[정의]
선천성 또는 후천적인 이유로 내경동맥의 말단 부위에 협착과 폐색이 진행되고 동시에 뇌의 기저부에 미세한 혈간들로 망을 형성하는 원인 불명의 뇌혈관 질환으로 세 동맥이 미세한 측부로의 이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인 질환
[원인]
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며, 선천성, 자가면역기전, 뇌외상, 렙토스피라증, 혐기성 세균감염, 경구피임약 등으로 추정됨
[증상]
- 소아 : 허혈증상(81%), 전간발작, 편마비, 언어장애, 지능저하 등
- 성인 : 뇌출혈로(특히 여성) 인한 두통, 의식장애 등
[병리]
- 대부분 양측성으로 발생함
- 내경동맥의 말단부위에 혈관 내막 비후(지질침착)로 혈관 협착 및 폐쇄 소견이 있고 리포이드성 퇴화
[진단검사]
① 혈관조영술
- 다른 뇌내혈관 폐쇄성 질환보다 합병증이 많으므로 세심한 주의 및 숙련된 기술 필요
- 특징 : ICA 말단부, ACA, MCA 기시부의 혈관 협착
: 뇌기저핵부위에 비정상적인 많은 작은 혈관들이 망상 형성
: 양측성
: 경경막 문합 형성(transneural anastosis)
② CT
- 약 40%가 정상 소견을 보임
- 출혈시 뇌기저핵, 시상하부 및 측뇌실, 대뇌피질하, 대뇌피질 순으로 고흡수역이 나타남
- 특징 : 대뇌피질과 대뇌피질하부에 국한된 저흡수력
: 대뇌구와 대뇌열구의 확장
: 경한 측뇌실 확장
③ MR
- MRI : CT와 동일
- MRA : 뇌혈관조영술과 동일
④ 뇌혈류량 측정
- 전두 및 측두엽 부위 등에 중증도 이상의 혈액의 환류저하 및 대뇌피질하 허혈
- 두개저부위 모야모야 혈관들의 증가로 인한 뇌내중심 부위 혈류 증가
- 대뇌피질 부위 : 미만성의 만성적인 혈액의 환류저하
- hypercapnea에 대한 혈관 반응 장애
⑤ 뇌파검사
- 비정상적인 소견은 성인보다 소아에게 흔하게 관찰됨
- 미만성이고 양측성인 서파와 극파들이 나타남
- 과호흡에서 델타(δ) 파의
- 특히 소아의 경우, 과호흡 후 2~3분간 다양한 서파가 출현함
- 광유발 자극은 대부분 뇌파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
[치료]
※ 혈관폐색의 진행 정도, 범위 그리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측부 혈액의 형성정도, 뇌출혈 유무에 따라 예후 결정
1) 보존적 약물 치료
: 증상 완화에 도움
- 부신피질호르몬 : 불수의적 운동, 재발된 뇌허혈 발작의 활동 시기에 투여
- 항응고제 ex) aspirin, ticlodipine : 혈관들의 점진적 혈전성 폐색에 관여하는 혈소판 작용의 저지효과
- 혈관확장제, 항섬유소용해제 등
2) 외과적 치료
- 전측두동맥 : 중대뇌동맥 분지 간의 문합술
- EMS(encephalomyosynangiosis)
- EDAS(encephaloduroarteriosynangiosis)
- EDAMS(encephaloduroarteriomyosynangiosis)
[간호]
1) 수술 전
- 재출혈과 뇌경색 방지를 위해 자극 최소화
- mental & motor 변화를 주의 깊게 사정
- 소아의 경우, 자극의 최소화를 위해 울리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함. 따라서 혈액 검사나 침습적 검사 시 필요한 경우 sedation, 국소적 마취 고려
2) 수술 후
- 수술한 혈관의 과대 확장과 재출혈, 뇌경색 예방을 위해 적절한 진통제를 사용하여 통증을 조절
- 섭취, 배설량 확인 (I/O check)
- Nimotop 투여 시 부작용으로 혈압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혈압에 유의
- mental & motor 변화 주의 깊게 사정
- drain 관찰 시 양과 양상을 관찰하여 뇌척수액(CSF : cerebrospinal fluid) 과다유출 방지
2. 뇌동맥류 (Aneurysm)
[정의]
혈관이 구조적으로 약화되어 뇌동맥벽이 둥근 모양이나 sac 모양으로 확장된 것
[원인]
※ SAH(subarachnoid hemorrhage)는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것이 65%를 차지함
- 선천적 원인 : 동맥이나 Willis' circle의 내막과 외막에 선천적, 발달적 결함 있음
- 후전적 원인 : 죽상경화, 색전, 뇌혈관 외상
[호발 부위]
Willis' circle에서 뇌의 기저부에 있는 큰 동맥의 분지점과 가지에서 발생
① anterior cerebral artery : 35~40%
② internal carotid artery : 30%
③ middle cerebral artery : 20~50%
[특성]
- 35~65세 호발
- 여 : 남 = 3 : 2
- 80~90%는 single aneurysm
[증상]
< rupture or bleeding 전 >
- 대부분 무증상
<rupture or bleeding 후>
- 두통
- 의식저하
- 시야결손, 감각결손
- motor deficits : paresis, plegia, decortication, decerebration
- 오심, 구토
- 뇌부종, ICP증상 (seizure, cushing's triad)
- 뇌막자극 증상 : Kernig's sign & Brudzinski's sign positive
[진단]
- 영상 검사 : skull X-ray, Brain CT, MRI&MRA
- Lumbar puncture : 신경학적 장애가 없고 외압상승이 없는 경우만 실시
- TCD : vasospasm 진단 및 감시에 사용
[치료]
- ABR
- 혈압조절 : 수술 전) 재출혈 예방을 위해 SBP 100~140mmHg 정도를 유지
: 수술 후) vasospasm 예방을 위해 SBP 120~160mmHg 이상 유지
- Hyperventilation : 이산화탄소 분압 상승과 뇌혈류량의 증가는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PaCO2 30~36mmHg 유지가 필요함
- Hypothermia : 뇌혈류량과 뇌대사 감소
- Hypertonic solution : mannitol, urea, glycerin
- fluid volume 조절 : 탈수) vasospasm 발생 증가
: 뇌부종) moderate fluid striction & steroid, mannitol 함께 처방
- 약물치료 : nimodipine(vasospasm 예방), mannitol, lasix, steroid, 항경련제, 항응고제, 변완화제, 진통제, 해열제
- 수술치료 : neck clipping, wraping, trephination, trapping, GDC
[간호]
< 수술 전 : 재출혈 예방 >
- ABR
- V/S, mental, motor, pupil 확인
- SBP 100~140mmHg 조절
- pain 사정
- head elevation 30도 : 두개내압 감소
- 항혈전 스타킹 적용 : DVT 예방
< 수술 후 : vasospasm 예방 >
※ 뇌혈관연축(vasospasm) : SAH 발병 후 4~15일 사이에 발생하며, 출혈 이후 혈관의 수축으로 인한 허혈(부분적 빈혈상태) 성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함
- V/S, mental, motor, pupil 확인
- ABR
- head up position
- Nimodipine (IV or PO) 투여 : vasodilator로 출혈 후 4~21일 동안 60mg을 q4hr로 복용
- 3H therapy
① Hypertension : vasospasm으로 순환이 안되는 경우 혈압이 높을수록 측부순환이 원활해기 때문에 SBP 120~160 mmHg 이상 유지
② Hypervolemia : 혈장증량제 사용,
③ Hemodilution : Hct 33~35% 유지
3. AVM (Arterial Venous Malformation)
[정의]
선천적인 혈관의 기형으로 동맥과 정맥 사이에 있어야 할 모세혈관의 이행 없이 동맥에서 직접 정맥으로 이행하여, 한 개 내지 두 개 이상의 원시혈관이 동맥과 정맥 간에 문합을 형성한 것
[원인]
뇌혈관의 발생 과정에서 원시혈관망이 동맥, 모세혈관, 정맥으로 분화되는 태생 초기에 유입동맥과 유출 정맥사이에 모세혈관의 발생이 안되어 생기는 기형
[발생비율]
- 여 < 남
- 10~40대 호발
- 뇌반구(80~85%) < 소뇌(5~10%) < 뇌중심부(5~10%)
[증상]
※ 기형의 위치, 크기, 뇌허혈, 압박, 출혈, 수두증 존재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음
- 발작 : 25~30세에 많이 나타남
- 출혈 : 고아의 경우 간질에 비해 7배 정도 많이 나타남
- 경력, 두통, 운동장애, 감각장애, 기질적 정신장애, 시력손상, 실신, 혈관 내 잡음
[치료]
① 수술
- 재출혈의 가능성을 없애기 때문에 완전 절제가 최상의 치료
- 목적 : 비정상적인 문합제거 (유입동맥과 유출정맥은 제거하지 않음)
② 색전법
- 제거 불가능한 위치의 병소를 제거하기 이해 근위부 혈관을 폐색
③ 기타
- 카테터를 혈관에 삽입
- 기형혈관에 직접 아교를 주사
[간호]
- V/S, mental, motor 확인
- 발작이나 출혈과 관련된 조기증상을 사정
- 구토, 출혈 유무 관찰
- 뇌압상승방지 : mannitol, 혈압조절 약물 투여, head up 30도
'의학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뇌전증, 간질(Epilepsy)과 경련, 발작(Seizure)에 대하여 (0) | 2024.05.17 |
---|---|
수두증 (hydrocephalus)에 대하여 (0) | 2024.05.08 |
두개강내 종양 (Intracranial neoplasm)의 종류와 특징 (0) | 2024.05.01 |
뇌출혈의 치료와 간호 :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하여 (0) | 2024.04.05 |
뇌출혈(hemorrhage)의 종류에 따른 정리 (0) | 2024.03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