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경계 수술 (뇌수술): 경접형동접근 (TSA - Trans Sphenoidal Approach)
※ 뇌하수체 (pituitary)
[기능과 역할]
뇌하수체는 시상하부 아래에 위치한 내분비 기관으로, 인체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합니다. 나비뼈의 터키안장(sella turcica)에 위치하며, 전엽과 후엽으로 나뉩니다. 뇌하수체 전엽에서는 성장호르몬(GH), 유즙분비호르몬(PRL), 부신피질자극호르몬(ACTH), 갑상샘자극호르몬(TSH), 성선자극호르몬(GTH)이 분비됩니다. 이 호르몬은 대사, 면역, 생식, 기능 등 다양한 신체 기능을 조절합니다. 뇌하수체 후엽에서는 옥시토신과 항이뇨호르몬(ADH)이 분비되어 자궁 수축, 수유 그리고 신체의 수분 균형을 담당합니다.
[뇌하수체 선종 (pituitary adenoma)]
뇌하수체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, 호르몬 분비 상태에 따라 비기능성 및 기능성으로 나뉩니다.
-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: 호르몬 분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, 크기가 커지면서 시신경을 압박해 시야 장애, 두통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-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: 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하여 특정 내분비 질환을 유발합니다.
① 성장호르몬 과다 분비 종양 (15~20%): 성인에서는 말단 비대증, 아동에서는 거인증을 유발합니다.
② 프로락틴 과다 분비 종양 (30~45%): 무월경, 유즙 분비, 성욕 감퇴 등을 초래합니다.
③ ACTH 과잉 분비 종양 (10~15%): 쿠싱증후군을 유발합니다. 이는 비만, 고혈압, 당뇨병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경접형동접근 (TSA - Trans Sphenoidal Approach)
경접형동접근 (TSA - Transsphenoisal Approach) 수술은 뇌하수체 종양을 제거하는 가장 일반적인 수술 방법 중 하나입니다. 이 수술은 코를 통해 접협동을 지나 종양에 접근하는 방식으로, 두개골을 열지 않기 때문에 개두술에 비해 안전합니다.
이 수술의 가장 큰 장점은 외관상 흉터가 남지 않으며, 뇌손상 및 출혈 위험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것입니다. 또한, 뇌하수체 기능을 유지하며 종양을 제거할 수 있어 수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도 낮습니다.
[목적]
- 정확한 조직적 진단
- 비정상적인 내분비 기능의 정상화를 통한 뇌하수체 기능 회복
- 종양 제거를 통한 신경학적 결손(시력저하 및 시야장애, 급작스러운 심란 두통, 의식 저하)의 회복
- 종양 재발의 최소화
[수술과정]
경접형동접근 수술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비강을 통해 종양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① 접근 경로: 코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해 비강을 거쳐 접형동으로 접근합니다. 접형골 기저부를 절개하여 뇌하수체에 도달합니다.
② 종양 제거: 종양을 제거한 후, 뇌경막을 봉합하여 뇌척수액이 새지 않도록 관리합니다.
③ 패킹 및 지혈: 코에 패킹을 하여 수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을 방지하고 지혈합니다.
[수술 후 합병증 관리]
- 요붕증 (DI: diabetes insipidus)
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(ADH)이 감소하면 요붕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요붕증은 다향의 묽은 소변과 심한 갈증이 특징이며,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입니다. 이를 예방하기 위해 소변량과 체액 균형을 철저히 모니터링하며, 바소프레신(vasopressin)등의 약물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.
- 뇌척수액 비루 (CSF rhinorrhea)
수술 중 뇌경막이 손상될 경우 뇌척수액이 코를 통해 새어 나올 수 있습니다. 맑은 콧물이 계속 흐르거나 목 뒤로 콧물이 넘어가는 경우에는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. glusoce 검사를 하여 감별해 볼 수 있으나 정확한 진단검사는 아니므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. (콧물은 당이 없고, CSF는 30mg/dl 이상 확인됩니다.)
[수술 후 간호 관리]
- 구강 간호: 코에 패킹이 되어있어 환자는 구강으로 호흡하게 됩니다. 구강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구강 간호를 철저히 시행하며, 입이 마르지 않도록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야 합니다.
- 두개내압상승 (IICP) 예방: 수술 후 기침, 재채기, 코 풀기, 빨대 사용은 두개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어 금지됩니다. 이러한 행동이 뇌내압 상승을 유발해 수술 부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.
- 체액 균형 및 소변량 관리: 요붕증 예방을 위해 환자의 소변량을 매시간 모니터링하고,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합병증을 조기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
'의학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경계 수술(뇌 수술) 전 준비 및 간호 (2) | 2024.09.23 |
---|---|
뇌동맥류(Brain aneurysm)에서 코일색전술(GDC - Guglielmi Detachable coil) (1) | 2024.09.14 |
두개공술 (burr hole), EVD (extraventricular drainage), 뇌실측로술 (ventricular shunt) (0) | 2024.09.05 |
개두술 (Craniotomy), 두개절제술 (Craniectomy), 두개성형술 (Cranioplasty) (0) | 2024.08.30 |
뇌전증, 간질(Epilepsy)과 경련(Seizure) 치료와 간호 (0) | 2024.05.27 |